OpenStreetMap logo OpenStreetMap

"-역"

Posted by @Garam on 14 December 2018 in Korean (한국어).

들어오지 않은 사이에 “-역”을 제거하기로 되었던 모양입니다. osm.org/user/GPIOIPG/diary/47065

하지만 여기서 간과된 사실이 있습니다. 검색하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하나도 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말인 즉슨, 사람들이 지도에서 역을 검색할 때에는 “서울역”으로 검색을 하지, “서울”로 검색을 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현재 “서울역”이나 “부산역”으로 검색할 때에 다행히도 역사 건물은 “-역” 이름을 유지하고 있어서 역 위치를 비슷하게 잡아주지만, 대다수의 전철역들에서는 그러한 것을 기대하기가 힘듭니다. 단적인 예로, 부산의 대표적인 역인 “부전역”을 검색하면 이제 더이상 부전동의 역은 표시되지 않고 함경남도에 있는 동명의 역만을 인식하고 그 외에는 부전동의 역 주변의 버스정류장이 표시될 뿐입니다.

지도의 역할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나 “-역”을 제거하자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좀 난감한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안으로 name:ko에 “-역”을 포함한 이름을 포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예: osm.org/node/355173789 ) 이와 관련해서 여러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Email icon Bluesky Icon Facebook Icon LinkedIn Icon Mastodon Icon Telegram Icon X Icon

Discussion

Comment from Q8ba2di0Pa on 15 December 2018 at 07:17

역을 제거하기로 결정된 것이 아닙니다. 몇 달 전에 어느 유저가 대대적으로 역을 제거하였을 뿐이고, OSM Korea 텔레그램 그룹에서 간간히 논의가 있어서 제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Riajuu님의 의견 충분히 이해합니다. 설문조사에서 -역을 역명에 붙이는 것이 좋다고 답변해주신 분들이 80%였고, 왜 그러한 답변을 했는가에 대해서는 대개, 그러한 방식이 한국어에서 익숙하거나, 주변 지명과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하지만, 최근 3개월 동안의 크로스 체킹과 다양한 정보 수집을 통해서 -역을 붙이는 것이 당장은 적절한 생각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을 붙이는 것이 오픈스트리트맵의 규칙에 위반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오픈스트리트 맵 위키를 보면(osm.wiki/Names), 오픈스트리트맵에서 이름에는 추가적으로 태그에 있는 정보를 넣으면 안됩니다. 역에는 railway=station이라는 태그가 있기 때문에, “-역”을 붙이면 룰 위반입니다. 단, 공식적인 이름에 이미 태그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태그의 정보를 이름에 중복해서 표기해도 괜찮습니다. (서울역의 일반철도 역명은 “서울”이지만, 도시철도 역명은 “서울역”인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각각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와 서울특별시 고시, 또는 위키백과를 참고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에서 역을 검색하는 것이 안된다는 이유로 오픈스트리트맵의 룰을 위반해서 이름에 “-역”을 추가하는 행위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픈스트리트맵의 작명 룰을 따라 공식적인 역명을 기준으로 작성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철도 역의 검색이 안되는 문제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입장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텔레그램에서도 어느 기여자 분께서 검색 안된다는 문제를 말씀해주셨는데, 어플리케이션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검색어로 -역이 들어가면 어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접미어 -역을 제거한 채로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역은 OpenStreetMap Carto 렌더링으로 이미 잘 표시되고 있습니다. 색인으로 어느 표기가 역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오픈스트리트맵은 “지도 데이터”일 뿐입니다. 검색 및 렌더링 서비스와는 구분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검색이 안되는 문제와, 렌더링 문제는 명백히 해당 서비스 관리자에게 문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노력을 기울여봤지만, 오픈스트리트맵의 기본 원칙인 Name is the name only라는 원칙을 무시하는 건 지도 작성 룰을 위반하는 행위가 되므로 “-역”을 붙이는 건 당분간 보류할 생각입니다.

Comment from Q8ba2di0Pa on 15 December 2018 at 07:37

그리고 name:ko보다는 alt_name:ko에 “-역”이 들어간 철도역명을 넣거나, 아니면 지상철도와 지하철 역사를 전부 매핑하고 해당 지물의 이름에 “-역”을 붙이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독일, 영국, 일본의 경우 철도역사에는 전부 “station”을 붙이더군요.

Comment from @Garam on 17 December 2018 at 13:12

아, 규정이 바뀌었던 건가요? 분명 기억상으로는 일본 지역 역명 표기에서 ‘-駅’으로 끝났었던 것으로 기억해서 지물 역사를 확인해보니 3년 전에 일괄적으로 駅을 지우는 것으로 변경되었네요.

개인적으로는 name에 ‘경성대·부경대(역)’ 이름을 쓴다면 alt_name:ko에는 ‘경성대부경대(역)’을 쓰는 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라 name:ko를 제안한 것입니다.(예: osm.org/node/355173843 ) 역사에 ‘-역’을 붙이는 것에는 이의가 없으나 지하역사의 경우에는 그 애매함이 있습니다. 지하역사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몰라서, 또 이에 대해 의견을 물어봤던 것으로 기억하나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하였는데 혹 지하역사를 지물로 만드는 것에 대해 어떠한 총의나 규정이 있지 알고 계신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과거에 osm.org/way/476627346/history 를 만든 적이 있는데, 지금에 와서 보니 일괄적으로 ‘-역’을 지우면서 지하역사의 이름들도 일괄적으로 지워버렸네요.

Comment from Q8ba2di0Pa on 17 December 2018 at 14:48

지하역사 명칭에 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제가 철도 매핑을 하면서 참고한 자료가 있는데, 매핑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VWorld에서 확인해본 바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 기준으로 지하역사 지번에 “-역”이 붙어있어서, 지하 역사 이름에는 “-역”이 붙는게 서류상으로는 공식적인 것 같습니다. 새주소 홈페이지에서 검색한 지하역사 도로명주소에는 따로 건물명이 없었습니다.

  • Metro Mapping 문서(osm.wiki/Metro_Mapping)를 보면서 도시철도 매핑을 했는데, 여기서는 지하역사를 건물로 표현하지는 않고 플랫폼만 그려놓았습니다.

  • 지하/지상 역사를 3D로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오픈스테이션맵(https://www.openstationmap.org/#18.61/52.5248337/13.3695499/8.8/55)이라는 지도가 있습니다. iD나 JOSM으로 비교하시면 디테일한 지하/지상 역사 매핑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Comment from @Garam on 17 December 2018 at 15:39

옛날에는 없던 자료들이 더러 있네요. 다만, Metro Mapping 문서 자체가 총의에 따라 만들어진 문서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오픈스트리트맵 자체도 검색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라, ‘-역’을 포함한 접미사 부분에 대해 좀 더 심도있는 논의가 이어져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Comment from Q8ba2di0Pa on 17 December 2018 at 16:16

Metro Mapping 문서는 아직 총의가 수렴이 안된 것 같습니다. 문서 군데군데 의견 조율같은 내용이 있어서 그렇기는 한데, 대략적으로 의견이 모인 결과물이 맞는 것 같습니다. 이 기준에 맞춰서 저는 수도권 전철을 복선화시키고 stop_area 만들고 side, spur 태그 넣고 했거든요.

오픈스트리트맵 검색 문제는 이 사이트의 검색 관련 개발을 누가 하는지 질문해야겠어요. 예를 들어 검색어로 어떤 문자열이 이 들어올 때, 맨 뒤 문자에 “역”이 있으면 서브스트링로 분리하여 검색 범위를 조정해서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해야겠지요. 한국어에는 그런 접미사 많으니, -시 -구 -도로 -길 -산 -숲 -강 -한 -천 등의 키워드에 대해서 서브스트링 후 쿼리를 돌려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던지요. 기술적인 난이도가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알기로는 렌더링은 데이터의 필터링은 하지만 수정 기능은 좀 어려워진다고 합니다. 조건문 조금 넣어도 수백 수천만개의 데이터를 체크하면서 지도를 그리면 (렌더링)소요 시간이 배로 늘어버릴 수 있어요. 조건문의 체크도 최소화해야 하는데…

가장 편한건 그냥 한국판 Openstreetmap Carto를 만들면 됩니다. 기본은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만, 한국어의 관습과 표기를 가장 중시하는 식으로 렌더링하고 검색을 제공하면 되지 않을까요? Manik는 c프로그래밍으로 돌아가는 언어인 것 같으니 한국용 표준 openstreetmap 타일 맵을 개발하는 데는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C의 무식하고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언어로 데이터 필터링 걸어주면서 검색 기능 넣으면 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졸려서 글이 좀 엉맘이 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Comment from @Garam on 17 December 2018 at 16:36

요즘은 요청하면 바로 바로 피드백이 오나요? 예전부터 OSM으로 편집하는 게 습관되어서 OSM으로 편집하는데 지물 중에 누군가 홍보용으로 넣어놓은 횟집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기에 문의를 넣었는데 방치되었던 기억이 있어서 말이죠…

Comment from Q8ba2di0Pa on 17 December 2018 at 22:42

이메일 연동이 되어 있어서, 메일로 알림 받으면 되도록 바로 피드백하면 편입니다.

Comment from Q8ba2di0Pa on 18 December 2018 at 01:34

OSM Help(https://help.openstreetmap.org/)나 OSM Forum(https://forum.openstreetmap.org/)에서 역 검색에 관해 질문을 올리시는건 어떨까요? 사용자 일기는 질의 응답이나 의견 수렴을 하기에는 한정적인 공간인 것 같습니다.

Comment from Q8ba2di0Pa on 18 December 2018 at 01:45

osm.org/search?query=%EC%A2%85%EA%B0%81%EC%97%AD#map=16/37.5702/126.9829

종각역 검색하면 철도역 이름이 “종각”이라고 해도 결과가 잘 나오는 것 같습니다. 다른 몇몇 역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혹시 다른 역 중에서 검색이 안되는 게 있나요? 아니면 최우선순위로 -역이 붙었을 때 검색이 되기를 바라시는건가요? 아니면 따로 사용하고 계시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검색이 안되는건가요?

Comment from @Garam on 18 December 2018 at 05:47

예전에는 다들 사용자 일기에 의견을 남겼던지라 그런 공간이 있는 줄 모르고 무심코 여기에 글을 썼네요.

종각 같은 지명이 역을 바로 보여주는 건 해당 지명이 그리 많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례로 OSM 웹에서 부산의 대표적인 역인 서면역이나 서울의 오류동역의 경우를 비롯하여 지명과 연관된 역명에서는 접미사를 제외하게 될 경우에는 전혀 검색에 잡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한국어권의 사람들이 역명을 검색할 때에 접미사와 함께 검색하는 경향이 있기도 하고 말이죠.

그나저나 센텀시티역은 접미사를 제외하더니 센텀역이 되었군요… osm.org/node/5421140316/history 그리고 부산 1호선 다대선 구간 및 일부 구간에서는 접미사가 제외되다가 만 거 같고요…

Log in to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