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번역과 관련해서 한 번 언급했었는데 그와 관련해 좀 더 적절한 용어로 번역한 것들이 있습니다.
가령 본래 ‘GPS 추적’이라 명시되었던 것을 본래의 의미와 더 알맞은 ‘GPS 궤적’으로 바꾸었으며, collage의 경우에는 그 의미가 대한민국에서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으로 불리나 정확히는 학위와 무관한 중등교육+급의 ‘전문학교’(대한민국으로 치면 직업학교 등)이기 때문에 영어권 정보 및 일본어권 정보를 참고하여 이를 ‘전문대학’에서 ‘단기대학·전문학교’로 바꿔 번역하되, 부차적으로 ‘직업전문학교’로도 지물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만약, 전문대학 지물을 만들고자 하신다면 ‘대학’ 지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번역하는 곳이 상이하여 적용에 좀 더 시간이 걸릴 거 같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번역들을 대체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적용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네요.
key:name 관련
기존의 key:name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병기 사례는 과거 일기에서 언급하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하나 빠뜨린 거 같네요. key:name의 경우에 기본값인 name은 말 그대로 화면에 보여주는 기본값으로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에 한국어로 검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key:name=ko 값을 반드시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검색 시에 기존에 입력된 key:name=en 값이 우선적으로 명시되어 한국어권 이용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식적인 외국어 표기가 없다면 혹은 모른다면 굳이 번역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인 즉슨, 실례로 부산 도시철도 역 이름 중 하나인 경성대·부경대역의 공식 영어 표기는 Kyungsung Univ. · Pukyong Nat’l Univ. Station이나, 이를 Gyeongseongdae · bugyeongdae Station으로 오역한 사례나 단어만 보고 자체적으로 번역하여 실제 표기와는 다소 그 표기법이 다른 사례 등을 간혹 편집 시에 겪곤 합니다. 오히려 이러한 비공식적인 번역은 타 언어권 이용자로 하여금 오해와 혼란을 만들어내게 되므로 지양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도로 지물 관련
현재까지도 도로 지물에 대한 지침이 없어서 여기저기 혼란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이는데,(그 중 하나가 주요 도로가 아닌 경우에 모두 주거 도로로 명시하는 문제) 여기에 대해서는 조만간 영어권, 일본어권 정보를 취합해서 한국어권 실정에 알맞게 위키에다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