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reetMap logo OpenStreetMap

Zapisi u dnevniku na jeziku: Korean

Recent diary entries

Poslao KennyDap u 24 July 2025 na jeziku Korean (한국어).

일주일 후에 선재도 매핑을 마쳤습니다. 재밌는 사실: 근처에 있는 5개의 작은 섬은 이전에 지도에 표시된 적이 없는데, 이는 OSM 지도에 존재하지 않는 섬이 한국에 수백 개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는 뜻입니다. 서쪽 해안에 있는 섬들을 지도에 표시할 계획입니다.

커뮤니티의 조언을 모두 참고했지만, 도로에 정확한 이름을 붙이는 방법을 여전히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집 주소를 완벽하게 표시할 수 없었던 겁니다. 커뮤니티의 누군가가 제가 한 작업을 보고 도로와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면 정말 좋을 텐데요.

Lokacija: 선재리, 인천광역시, 23123, 대한민국
Poslao Dokdo u 21 July 2025 na jeziku Korean (한국어).

한국어(Korean)

제가 방금 OpenStreetMap wiki에 계정을 만들었는데, 편집할 권한이 없다고 뜹니다. 제가 문서를 편집하고 번역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Translated English

I just created an account on the OpenStreetMap wiki, but it says I don’t have permission to edit. What do I need to do to edit and translate articles?

이 도로가 계속 차로 수가 변경되서 같은 이름 다른 차로 수의 도로를 차로 수가 바뀔 때마다 끊어서 따로 새로 추가하고 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도로 링크 : osm.org/way/392677769#map=16/35.63247/129.43854&layers=N osm.org/way/1416020854#map=17/35.624268/129.442173&layers=N osm.org/way/1416020853 (산하중앙3로, 울산광역시 북구)

※일단은 정자동 등 제외하고 강동산하지구 부근(푸르지오1차/2차, 힐스테이트, kcc 등 아파트 모여있는 개발계획구역 쪽)만 편집 중입니다. 혹시나 정자동 쪽도 도움 주실 수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Lokacija: 산하동, 북구, 울산광역시, 44264, 대한민국
Poslao KennyDap u 17 July 2025 na jeziku Korean (한국어).

우선, 저는 한국어를 못해서 자동 번역입니다. 저는 러시아 출신이지만 지난 3년 동안 서울에 살고 있어서 한국어로 글을 쓰고 싶습니다. 저는 1년 동안 OSM을 사용해 왔지만, 일주일 전에 지도 제작에 손을 대기로 했습니다. 제 첫 프로젝트는 «석정리». 세계문화유산화순고인돌군에서 멀지 않은 외딴 마을이에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그냥 무작위로 이 마을을 선택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한국의 OSM 커뮤니티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3년을 보냈지만 여전히 같은 관심사를 가진 친구를 찾을 수 없었기에, 이번 시도가 시간이 지나면서 결실을 맺기를 바랍니다. 어떤 식으로든 제 작업이 유용하기를 바랍니다.

제가 뭔가 잘못한 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번역가가 좋은 일을 해서 여러분을 울게 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 화이팅!

Lokacija: 석정리, 화순군, 전라남도, 58157, 대한민국

한국에는 아직 오픈소스 및 사용자 기여에 대한 활발한 환경이 갖추어져있지 않다. 하지만 그러한 문화에서도 여러가지 변화가 있는데, “나무위키” 서비스이다. 한국어와 한국 사용자 위주로 갖추어져있는 나무위키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간단한 로그인만으로 위키 글에 기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는 한국인 사용자로서, 한국에서 더욱 활발한 사용자 참여가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해보고 있다.

그 중, 내가 처음 시도하는 것은 위치 기반 서비스 어플 출시이다. 필자는 연세대학교 학생으로,

연세대학교 서쪽 구역인 소위 “서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앱을 제작하고 있다.

이 앱은, 학생을 위한 카페 및 음식점 연결, 학생끼리의 소개팅이나 미팅 주선, 나아가서는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학생 창업 문화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오픈스트리트맵을 활용하므로서, 모두가 기여하며 효과를 받을 수 있는 오픈소스의 가능성을 연세대학교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ios 기반으로 앱을 제작중이며, 2025년 2월 중순 이내로 앱스토어에 등록할 예정이다.)

Lokacija: 신촌동, 서대문구, 서울, 03722, 대한민국
Poslao rkdclgh u 11 January 2025 na jeziku Korean (한국어).
  • 들어가기에 앞서, LuxuryCoop님의 기존 제안을 보고 영감을 얻어 새로 올린 글입니다. 아래 글을 읽어보기에 앞서, 해당 글을 먼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 게시글에서는 지역의 label 태그를 위계별로 어떻게 사용하여야 할 지에 대하여 특히 주목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OSM Wiki에 명시된 대로 각각의 place 태그에 대한 원론적인 위계에 주목하여 한국의 행정 구역 라벨 위계를 새로이 구성해 보았습니다.

공식 행정구역

광역자치단체

  • place=province - 도(道),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에 사용

해당 태그는 일반적으로 주나 도 등 국가의 1차 행정구역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언급한 자치단체 모두 동일하게 대한민국의 1차 행정구역을 나타내므로 모두 ‘province’로 동일하게 표현하였습니다.

기초자치단체

  • place=city - 시(市)
  • place=county - 군(郡)

시와 군의 경우는 현행 유지되는 태그를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 place=district - 특별시, 광역시 등의 자치구
  • place=borough - 자치구가 아닌 구; 일반구

자치구의 경우 시, 군과 동등한 위계에 있는 기초자치단체로써, 지방 정부에 의해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행정 구역이라는, OSM Wiki에 설명되어 있는 district과 그 사용례를 같이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district로 제안해 보았습니다.

일반구의 경우, 자치구와 마찬가지로 구(區)라는 명칭을 공유한다는 점은 존재하지만, 자치구와 달리 별도의 자치권이 없는 시(市) 내부의 하위 행정구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자치구와는 다른 태그를 이용하여 이를 표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도시 ‘내부’의 구역임을 나타내는 ‘borough’ 태그를 사용하여 달리 표기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입니다.

  • place=subdistrict - 행정동

현행에서는 place=quarter가 동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지만, 해당 태그는 행정 구역을 명시한다기보다 도시 내 특정 구역을 태그하는 데 이용되는 점을 고려해보면, 거주 규모와는 별개로 행정구역임을 명확히 명시하는 subdistrict 태그를 이용하여 행정동을 표현하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제안합니다. district와 연계하는 경우 구와 동의 계층이 명확해진다는 점도 존재합니다.

  • ? - 법정동

‘법정동’의 경우는 일부 명칭을 제외하고는 지적 사무 외 행정적 사무와 실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적으로 잘 알려진 몇 법정동명을 제외하고는 법정동 relation의 name으로만 존치하고 label은 삭제합니다. 또한, 잘 알려진 몇 법정동명의 경우에는 규모에 따라suburb/quarter/neighbourhood로 구분하여 남기는 것을 제안합니다.

사실 법정동의 경우에는, 제가 제안하는 위계 구조 상에서 명확히 처리하기에는 애매한 바가 있어서, 혹시 이와 관련하여 좋은 의견 있으면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lace=town - 읍(邑)/면(面)

기존 방식대로 읍, 면의 경우는 town으로 태그합니다. 소규모 면의 경우도 town으로 묶여 과대표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하기는 하나, 읍과 면 둘 다 동일한 행정 위계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town으로 동일하게 태그합니다.

  • place=village - 법정리(里)
  • place=hamlet - 행정리/자연부락

현행대로 법정리의 경우 village로 표기하고, 법정리에서 행정 편의 상 더 잘게 쪼개진 행정리 혹은 자연부락의 경우 hamlet으로 표기합니다.

공식적인 행정구역이 아닌 지명

공식적인 행정구역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국지적 혹은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지명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태그 방법을 제안합니다. 각 place 태그 별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단순 예시에 불과하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See full entry

http://gubigil.kr/

19개정도가 있는거로 기억합니다 파일은 전부 받아 확인했을땐 직접 하신거같은데 몇몇 부분은 기준이 언제인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네요

현재 1~3 구간은 변함점이 없어보여 먼저 시작했습니다 4구간부터 바뀌어서 지도서비스와 다릅니다

도로 상에 존재하는 터널이나 교량에 대하여, 해당 구간에 속한 도로의 name 태그를 수정하여 터널이름, 다리이름을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히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원칙적으로 잘못된 방식이며, 공식적으로 권장되는 매핑 방식은 name 태그 대신 tunnel:name 내지는 bridge:name 태그를 사용하여 구조물 명칭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교량의 경우 구조물을 따라 area를 그리고, 거기에 man_made=bridge 태그를 붙여 나타냅니다. 그리고 해당 area의 name 태그에 교량 명칭을 입력합니다.

이런 매핑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도로 전체를 편집할 때에도 Overpass API 등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OSM)에 꽤 많은 노트(note)가 붙고 있지만 제대로 살펴보는 사람이 적어서 오랫동안 방치되는 일이 많습니다.
살고 있는 지역이나 관심있는 지역에 붙는 ‘노트’ 내용을 RSS로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을 적어 보고자 합니다.
RSS 받기 봇을 쓰면 OSM에서 흔히 쓰는 ‘텔레그램’에서도 그 내용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방법 1

  1. 테두리 상자 선택 연장을 엽니다.
  2. Alt 키를 누른 채로 테두리를 정하는데, 한국의 경우 시·군·구 정도나 그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영역이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넓은 영역을 잡으면 에러가 납니다.)
  3. 아래 쪽 항목 가운데 맨 위 ‘API, XAPI, Maperitive, osmconvert, osmium’ 항목의 숫자를 복사해 놓습니다.
  4. http://api.openstreetmap.org/api/0.6/notes/feed?bbox=smaller_longitude,smaller_latitude,larger_longitude,larger_latitude에서 ‘smaller_longitude,smaller_latitude,larger_longitude,larger_latitude’ 부분에 그 숫자를 붙여 넣으면 RSS 주소가 완성됩니다.
  5. RSS를 읽어들일 수 있는 곳에 그 주소를 붙여 넣으면 됩니다.

방법 2(아주 간단한 방법)

OSM QA Feeds 연장을 열고 찾고자 하는 지역을 검색해 들어간 다음 테두리 상자를 조절하면 됩니다.
이 때에도 한국의 경우 시·군·구 정도의 넓이로 잡는 것이 좋습니다.

Open the OSM QA Feeds tool, search for the region you want to find, and adjust the border box.
A good rule of thumb is to make it about the size of a county. If it’s too wide, it won’t be able to process it and will throw an error.

아래 풍력발전기들은 위성사진상 풍력발전기인 건 맞으나, 어느 발전소인지 불명확한 것들임. 아마도 발전기 설치만 하고 계통병입을 아직 안 해서 EPSIS에 집계가 안 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여겨짐. 추후 EPSIS에 노출되는 대로 정리 및 추가할 예정.

노드번호 Ref 위도 경도 구좌읍 월정리 node/6740186186 n.a. 33.5168579 126.7594851

구좌읍 김녕리 node/7641971542 n.a. 33.5587855 126.7711681 node/7641971500 n.a. 33.5633738 126.7724564

홍성군 node/9196588574 n.a. 36.5196404 126.4383888

부안군 node/11336347287 n.a. 35.5804069 126.665816 node/11336347288 n.a. 35.5804614 126.6656966 node/11336347289 n.a. 35.5805934 126.6656148 node/11336347290 n.a. 35.5807025 126.665584 node/11336347291 n.a. 35.5808432 126.66558

울릉군 node/10805235767 n.a. 37.5156583 130.815123

구좌읍 행원리 node/10763132616 n.a. 33.5540301 126.821713 node/6740186185 n.a. 33.5164777 126.7595529 node/3753982805 n.a. 33.5378955 126.7886977

태안군 node/10236801603 소형 발전 36.7694299 126.304618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 node/6979989839 n.a. 34.4369591 126.4321187 node/6979989840 n.a. 34.436909 126.4320674 node/6979989841 n.a. 34.4368105 126.4320219 node/6979989842 n.a. 34.4367229 126.432204 node/6979989843 n.a. 34.4367886 126.4322799 node/6979989844 n.a. 34.4368496 126.4323444 node/6979989845 n.a. 34.4366369 126.4323595 node/6979989846 n.a. 34.4366979 126.4324335 node/6979989847 n.a. 34.4367573 126.4324999 node/6979989848 n.a. 34.4366181 126.4325568 node/6979989849 n.a. 34.4372172 126.4326744 node/6979989850 n.a. 34.4374252 126.4327275 node/6979989851 n.a. 34.4365847 126.4330987 node/6979989852 n.a. 34.4370462 126.4325335

거창군 북상면 node/4483840546 n.a. 35.7911736 127.704751

Poslao SilkBlue u 13 March 2024 na jeziku Korean (한국어).

일단 동문1동의 학동 지점 건물 및 도로 추가 완료했습니다. 차기에는 서산제일감리교회 동편 지역, 그리고 서령로 남측 지역 추가… 점점 점진적으로 추가할 예정입니다.

빨라야 반 년 뒤에는 끝날 거 같네요.

이후에는 성연면 (서산테크노밸리), 인지면, 부석면, 해미면, 대산읍, 음암면, 운산면, 고북면, 지곡면 순으로 편집해나갈 예정입니다. 물론 해당 지역들은 바뀌어질 수도 있습니다. 길어야 5년은 될 거 같네요

Lokacija: 읍내동, 서산시, 충청남도, 31970,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