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 시설물 매핑 방법에 관해
aaei924 tərəfindən 12 Sentyabr 2025 tarixində Korean (한국어) dilində paylaşılıb. Last updated on 13 Sentyabr 2025.일부 혼란스러운 매핑을 정리하고 OpenRailwayMap 이용을 고려하기 위해 몇몇 부분을 다듬고자 초안을 작성함.
network 키 구분하기 * route=train : 일반철도 노선 (호남선). 지하철 노선에는 사용하지 않 * route=railway : 대중교통 노선 (호남선 무궁화호 등..)
노선 (운행 계통)
- 선로와 노선의 차이를 잘 구분해야 합니다.
- 번호가 붙지 않은 노선의 ref 태그에는 노선기호의 문구(신분당선 -> 신분당) 혹은 역 번호의 앞부분을 넣는 것을 고려 (예: 용인경전철 Y1## -> Y1 혹은 Y)
정거장
- public_transport=stop_area_group가 비표준 태그이기 때문에, 사용을 지양해야 합니다. 링크
- 하나의 역은 하나의 public_transport=stop_area 관계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노선별로 관계를 분리하지 않아야 함)
- 출구의 name은 숫자가 아닌 이름이 있는 경우에만 입력합니다. (번호가 붙은 출구는 name을 비우고 ref만 입력합니다)
- public_transport=stop_area의 name 역시 ‘~역’을 제거합니다. (시설물로서의 역을 나타낸다기보다 정거장으로서의 역을 나타내는 경향이 크기 때문)
Ref 키 사용 정리
철도 관련 지물에 붙는 번호/코드의 종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노선번호(대중교통): route=railway의 ref
- 노선번호(선로): route=train의 ref 및 railway=rail의 ref
- 선로번호(역 구내): railway=rail의 railway:track_ref (ref를 쓰지 않도록 합시다)
- 타는 곳 번호(역):
- 역번호: 개별 역의 ref
- 역명 전산약어: 개별 역의 railway:ref
아래 ref키는 특별히 등록된 것은 아니고 이런 key를 사용하면 좋겠다는 부분입니다.
- AFC(역무자동화설비) 코드: 개별 역(노선별) ref:AFC
- 매표단말 역코드:
- KROIS 코드: ref:KROIS
- XROIS 코드: ref:XROIS
신호기 (railway=signal)
OpenRailwayMap의 매핑 기준을 따르게 되어 있는데, 국내에는 railway:signal:CATEGORY=TYPE 유형의 매핑 기준이 만들어져 있지 않아 신호기의 종류를 상세히 매핑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에 새로 체계를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추가 검토가 필요한 사항
아래의 사항은 필요하다고 사료되나 해외 사례 검토 결과 보류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 부분입니다.
노선 관계의 ‘name’ 태그에서 이름이 아닌 요소 제거하기
- name 태그에 ‘도봉산 → 온수’처럼 방향을 표시하지 않는 것: from, to 태그로 표현할 수 있음
- name 태그에 ‘수도권 전철’처럼 네트워크를 표시하지 않는 것: network 태그로 표현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