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참고하기 위해 작성한 항목입니다. (수시 업데이트)
도로
- enforcement 관계: 교통법규 단속 장비
- change 키: 차로 변경 가능 여부
- expressway 키: 고속화도로 여부
- motorroad 키: 자동차전용도로 여부
개인적으로 참고하기 위해 작성한 항목입니다. (수시 업데이트)
도로 상에 존재하는 터널이나 교량에 대하여, 해당 구간에 속한 도로의 name 태그를 수정하여 터널이름, 다리이름을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히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원칙적으로 잘못된 방식이며, 공식적으로 권장되는 매핑 방식은 name 태그 대신 tunnel:name 내지는 bridge:name 태그를 사용하여 구조물 명칭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교량의 경우 구조물을 따라 area를 그리고, 거기에 man_made=bridge 태그를 붙여 나타냅니다. 그리고 해당 area의 name 태그에 교량 명칭을 입력합니다.
이런 매핑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도로 전체를 편집할 때에도 Overpass API 등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공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류소 태그를 생성해 주는 도구입니다. 현재 경기도, 서울특별시 소재 정류소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https://prws.kr/osmtags/busstops
정류소번호나 명칭을 검색한 후 복사하고자 하는 태그 유형이 적힌 버튼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으로 클립보드에 복사됩니다.
위의 기본 태그 이외에 국문 및 영문 명칭(일부 지원)과 정류소ID, 네트워크 정보(경기도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역별로 제공되는 데이터의 차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생성되지 않는 태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위계를 구분함에 있어서는, 해당 도로가 연결하는 지역의 성질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런 식의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한 분류 체계는 일제강점기부터 오늘날 남북한에서까지 이용되고 있는 유서 깊은 방식입니다. 그만큼 검증되고 확실한 분류 체계라는 의미도 될 수 있습니다.
도시계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제3호에 따른 기능상의 구분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어느 도로가 어디 해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vworld 등에서 도시계획도로 정보를 참고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간선도로에서 보조간선도로가, 보조간선도로에서 집산도로가, 집산도로에서 국지도로가 분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OSM에서 통용되는 한국 지역의 편집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주요/비주요 도로는 iD편집기 상 카테고리입니다.)
현재 비주요 도로는 주요 도로에 비해 분류 기준의 명확성이 떨어지는 상태입니다. 명확성이 주요 도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으나, 가능한 한 명확한 기준을 세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현재의 기준을 보면 주거 도로는 주거 구역을 이어주며, 주거 구역 바깥의 길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문판 위키의 태그 설명을 참고해 보면, 원 의미가 ‘마을을 연결하는 기능이 없는 주거지로의 접근을 목적으로 하는 도로’입니다.
Roads which serve as an access to housing, without function of connecting settlements.
- 영문 위키의 설명 -
즉, 현재 한국에서의 ‘주거 도로’ 기준은 원래의 개념과 완전히 다른 것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주거 구역 바깥을 이어 주는 도로는 오히려 ‘미분류 도로’(unclassified)가 적절합니다.
미분류 도로의 경우, 원래 한국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분류 기준 설명에서는 주택가 도로와 트랙 사이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highway 태그의 설명을 보면, unclassified는 tertiary의 바로 다음 단계입니다. 원래 미분류 도로가 가리켜야 하는 것은 작은 규모(마을보다 크고 도시보다 작음)의 지역 내부를 이어 주는 도로이지만, 현행의 체계는 이것을 ’주거 도로‘로 태그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물론 마을 등을 잇는 샛길이라는 현재의 특성은 이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위계가 잘못 정해져 주거 도로의 분류가 우선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지역적 특성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이 원래의 개념과 체계 전체에 비추어 보았을 때 괴리가 가급적 없어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기준은, 가장 기본적인 위계조차 잘못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됩니다.
… 查看完整日记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