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reetMap logo OpenStreetMap

Diary Entries in Korean

Recent diary entries

Posted by @Garam on 14 December 2018 in Korean (한국어).

들어오지 않은 사이에 “-역”을 제거하기로 되었던 모양입니다. osm.org/user/GPIOIPG/diary/47065

하지만 여기서 간과된 사실이 있습니다. 검색하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하나도 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말인 즉슨, 사람들이 지도에서 역을 검색할 때에는 “서울역”으로 검색을 하지, “서울”로 검색을 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현재 “서울역”이나 “부산역”으로 검색할 때에 다행히도 역사 건물은 “-역” 이름을 유지하고 있어서 역 위치를 비슷하게 잡아주지만, 대다수의 전철역들에서는 그러한 것을 기대하기가 힘듭니다. 단적인 예로, 부산의 대표적인 역인 “부전역”을 검색하면 이제 더이상 부전동의 역은 표시되지 않고 함경남도에 있는 동명의 역만을 인식하고 그 외에는 부전동의 역 주변의 버스정류장이 표시될 뿐입니다.

지도의 역할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나 “-역”을 제거하자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좀 난감한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안으로 name:ko에 “-역”을 포함한 이름을 포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예: osm.org/node/355173789 ) 이와 관련해서 여러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소개

저는 주간OSM 418(2018년 7월 중순)부터(블로그에 올린 것까지 합하면 414(2018년 6월 말)부터) 한국어 번역 작업을 맡고 있습니다.

주간OSM 사이트 상단 화면 최근에 사이트 제목에 “주간”이 추가되었던데, 많이 찾아와 주세요. 보는 사람이 1명이라도 있다는 것 자체가 힘이 됩니다. 저 주간 글씨는 제가 일부러 요청한 건 아닌데, 추가해 주셨네요(참고로 talk-ko 메일링 리스트에 매주 매일 보내는 것은 제가 요청한 거긴 합니다).

왼쪽부터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일본어(한자), 체코어, 독일어, 한국어인데, 체코어판이 없는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있네요. OSMBC에서 번역하지 않아서 없는 줄 알았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주기적으로 번역 작업을 하는 것도 처음이고, 사실 애초에 번역 작업이 익숙하지 않은 상태로 주간OSM 번역을 시작했습니다(이전에 JOSM 번역에 참여하기는 했습니다. 지금도 번역하려고는 하는데 시간이 잘 안 나네요). 게다가 내년에는 번역할 시간이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다 보니 한 단어에 번역어가 여러 번 바뀌기도 하고 그러는데, 아무래도 혼란이 있을 것 같아 이 글을 씁니다. 혹시나 아래의 번역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언제든지 이의 제기해 주세요.

그나저나, 번역자가 더 있었으면 좀 더 편했을 텐데 말이에요. OSM 활동이 훨씬 활발한 일본(우리나라 기여자의 약 6~7배)도 활발하게 번역하는 번역자는 2명뿐이니 그러려니 합니다.

그래도 OSMBC에 가입해서 가끔씩이라도 도와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OSM 계정만 있으면 됩니다.

번역어 변화

  • Data Working Group(DWG): 데이터 워킹 그룹 → 데이터 작업반(434부터 적용)

See full entry

![Seoul Subway, building sign of sangbong station (c) hyolee2]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d/Korail_Sangbong_Station.JPG/800px-Korail_Sangbong_Station.JPG) Picture 1. Seoul Subway, building sign of sangbong station which is managed by Korail (c) hyolee2 CC BY-SA 4.0. The picture is posted to Wikipedia.

Seoul Subway, poll sign of sngbong station (c) 박경수 Picture 2. Seoul Subway, poll sign of sngbong station which is managed by Seoul Metro (c) 박경수 Public domain. The picture is posted to Wikipedia.

See full entry

어젯밤부터 방금까지 자동화 편집 행동 강령을 한국어로 번역했습니다.

현재 영어를 기반으로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번역본이 있는 상황인데(일본어는 문서만 존재하다시피 함), 여기에 한국어 번역본이 추가된 것에 기쁘게 생각합니다.

사실 한국어를 사용하는 OSM 편집자가 얼마나 된다고 굳이 한국어로 번역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무엇보다 일단 저한테 필요해서 번역했습니다.

한국어 OSM 기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그럴 일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어 번역자에게도 참고 자료로써 쓰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여담으로, 주간OSM(WeeklyOSM) 번역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으니, 많이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알았는데, LearnOSM에 한국어가 표시되네요.

현재 참여하고 있는 번역 작업(자주 하는 순서대로 내림차순)

다음 페이지에서는 한국의 행정구역 편집방안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중 admin_level의 설정 방안이 현실과 동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영어로 번역해주실 수 있는 분은 영어로도 번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osm.wiki/Tag:boundary%3Dadministrative#10_admin_level_values_for_specific_countries

admin_level: 8은 읍면동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그런데, 동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하나는 행정동이고 다른 하나는 법정동입니다. 행정동은 주민센터가 관할하는 동이고, 법정동은 지번 주소나 부동산 거래 시에 쓰이는 전통적인 지명입니다. 둘 사이에 법적인 위계 관계는 없습니다. 크기도 행정동이 큰 경우가 있는가 하면, 법정동의 큰 경우도 있습니다. 법정동만 쓰던 것이 시간이 지나자 관리가 어렵게 되어, 행정동이라는 새로운 동을 만든 것입니다.

법정리와 행정리라는 것도 있으나, 법정리가 몇 개의 행정리로 쪼개진 것이 보통입니다.

행정동이 법정동보다 작은 예: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이 행정동에는 상계동이라는 법정동 밖에 없습니다.

법정동이 행정동보다 작은 예: 무교동, 다동, 태평로1가, 을지로1가, 을지로2가, 남대문로1가, 삼각동, 수하동, 장교동, 수표동, 회현동3가, 충무로2가, 명동1가, 명동2가, 남산동1가, 남산동2가, 남산동3가, 저동1가 이 법정동은 모두 명동이라는 행정동이 관할합니다. ~가로 끝나는 지명은 동이지, 가라는 하위 행정구역이 아닙니다.

현실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동을 모두 같은 admin_level 값을 적용하기는 힘드니, 행정동의 admin_level을 8로, 법정동의 admin_level 값을 9로 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입니다. 법정동이 그 수가 조금 더 많습니다.

admin_level: 4 광역자치단체(Upper level local autonomy)

admin_level: 6 기초자치단체(Lower level local autonomy)

admin_level: 7 일반구(District (non-autonomous)), 행정시(제주시(Jeju-si), 서귀포시(Seogwipo-si)

admin_level: 8 읍(eup), 면(myeon), 행정동(haengjeongdong)

-haengjeongdong: neighborhood for administrative purpose. some of the haengjeongdong are smaller than beopjeongdong(상계1동Sanggye 1-dong, 상계2동Sanggye 2-dong), and another heongjeongdong are larger than beopjeongdong (명동Myeong-dong, 을지로동Euljiro-dong)

admin_level: 9 법정동(beopjeongdong), 법정리(beopjeongri)

-beopjeongdong: traditional place name(or neighborhood) of urban area. used for legal purpose.(무교동Mugyo-dong, 명동1가Myeongdong 1(il)-ga, 을지로1가Euljiro 1(il)-ga, 상계동Sanggye-dong)

-beopjeongri: traditional town name of rural area. used for legal purpose.

admin_level: 10: 통(tong), 행정리(heongjeongri)

-tong: urban viliage

-heongjeongri: actual viliage(town) name of rural area, which are used for administrative purpose. smaller than beopjeongri.

admin_level: 11: 반(ban)

-ban: some kind of hamlet

See full entry

I found broken railway tags in South Korea at OpenRailwayMap. For three weeks, I updated railway routes of main and branch lines in South Korea. It was the most hard work in my mapping experience.

Thanks to the OSM Telegram Super Group and Korea Group for helping with the mapping.

OpenRailwayMap에서 한국의 철도 태그가 깨져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3주 동안 간선과 지선 철도를 업데이트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매핑했던 것 중에서 가장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매핑에 도움을 준 OSM 텔레그램 그룹과 한국 그룹에 감사드립니다.

See full entry

개요

현재 대한민국 내에 많이 들어와 있는 체인점을 오픈스트리트맵 지도에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JOSM 프리셋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GitHub에서 XML 파일과 zip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기타 정보는 OSM 위키를 참고하세요.

JOSM에서의 모습 JOSM에 적용한 모습

설치법

See full entry

일전에 번역과 관련해서 한 번 언급했었는데 그와 관련해 좀 더 적절한 용어로 번역한 것들이 있습니다.

가령 본래 ‘GPS 추적’이라 명시되었던 것을 본래의 의미와 더 알맞은 ‘GPS 궤적’으로 바꾸었으며, collage의 경우에는 그 의미가 대한민국에서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으로 불리나 정확히는 학위와 무관한 중등교육+급의 ‘전문학교’(대한민국으로 치면 직업학교 등)이기 때문에 영어권 정보 및 일본어권 정보를 참고하여 이를 ‘전문대학’에서 ‘단기대학·전문학교’로 바꿔 번역하되, 부차적으로 ‘직업전문학교’로도 지물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만약, 전문대학 지물을 만들고자 하신다면 ‘대학’ 지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번역하는 곳이 상이하여 적용에 좀 더 시간이 걸릴 거 같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번역들을 대체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적용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네요.

key:name 관련

기존의 key:name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병기 사례는 과거 일기에서 언급하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하나 빠뜨린 거 같네요. key:name의 경우에 기본값인 name은 말 그대로 화면에 보여주는 기본값으로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에 한국어로 검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key:name=ko 값을 반드시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검색 시에 기존에 입력된 key:name=en 값이 우선적으로 명시되어 한국어권 이용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식적인 외국어 표기가 없다면 혹은 모른다면 굳이 번역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인 즉슨, 실례로 부산 도시철도 역 이름 중 하나인 경성대·부경대역의 공식 영어 표기는 Kyungsung Univ. · Pukyong Nat’l Univ. Station이나, 이를 Gyeongseongdae · bugyeongdae Station으로 오역한 사례나 단어만 보고 자체적으로 번역하여 실제 표기와는 다소 그 표기법이 다른 사례 등을 간혹 편집 시에 겪곤 합니다. 오히려 이러한 비공식적인 번역은 타 언어권 이용자로 하여금 오해와 혼란을 만들어내게 되므로 지양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도로 지물 관련

현재까지도 도로 지물에 대한 지침이 없어서 여기저기 혼란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이는데,(그 중 하나가 주요 도로가 아닌 경우에 모두 주거 도로로 명시하는 문제) 여기에 대해서는 조만간 영어권, 일본어권 정보를 취합해서 한국어권 실정에 알맞게 위키에다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로와 토지 지물을 연결한 사례

See full entry

Posted by alder09 on 11 March 2017 in Korean (한국어).

place : city block (장소) 도시 구획 만들 때, 시티 블록으로 설정하고 지번 표기하였습니다. 시티 블록은 번역이 안되어 있습니다. 다음 건물(building)를 선택하여 세부적으로 채워 넣었습니다. 빌라는 주거건물(residential)이 가장 맞는 거 같아서 그걸로 채웠습니다.

맨 처음에 에어리어나 플레이스로 면을 채우고 선으로 도로를 넣으면 자연스레 구역이 나누어 질 것 같은데 안될까요? 제가 사는 지역은 이미 도로로 가득 채워져 있기에 사이사이를 블록으로 나누어 빌딩만 채워 넣으면 됩니다.

빌딩 이름을 표기할 때는 고층 빌딩이어도 유명하거나 오래된 매장이 있는 경우 그걸로 채우고(단일 매장은 당연히) 빌딩에 비해 매우 작은 면적의 경우 상업(commercial)이나 주거(residential)으로 표기하고 점으로 별도로 넣었습니다.

스타벅스는 starbuck으로 검색하니 별도로 표기할 수 있더군요. 그런데 영문으로 표기가 되어 아쉽습니다. 커피전문점은 위키에서는 커피콩 모형이던데 왜 바구니인 상가 표기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메모)장소 크기 area>place>landuse>building

Location: 화곡4동, 강서구, 서울특별시, 07786, 대한민국
Posted by @Garam on 3 March 2017 in Korean (한국어).

현재 한국어 지명은 로마자를 병기하지 않아야함에도 불구하고 괄호를 통해 로마자(사실상 영어인 경우가 많음) 병기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경우에도 틀린 표기가 많습니다.

가령 지명에서의 “리”(里)나 도로에서의 “로”(路)의 경우에 이를 로마자로 표기할 경우 “-ri”와 “-ro”로 표기해야하는데 이를 앞의 단어와 연결하여 “-ni”와 “-no”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ko_rm(이미 ko-latin으로 바뀐 것 같으나 통상적으로는 ko_rm을 쓰는 것 같습니다)에 “-ri”와 “-ro”를 적고 alt_name:ko_rm에서 “-ni”나 “-no”를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무엇보다도 key:name에 괄호를 통한 로마자 병기부터 지워나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추신 1, 최근 들어서 pokemon go의 영향인지 편집자가 과거에 비해 부쩍 늘어난 것 같은데 이와 관련해서 한국어로 된 지침들을 정비해야할 것 같습니다. 지물(feature)의 종류가 오역( https://github.com/openstreetmap/iD/issues/3802 )되거나 광고가 포함(“바다횟집 (Bada Fish Restaurant)”라는 이름의 지물)된 경우도 많고 지물의 쓰임이 그릇된 경우도 종종 보이네요.

추신 2, 지하철 역사를 여타 사이트 지도들과 마찬가지로 표기하는 것을 시도해보고자 하는데 결과가 지도상의 결과가 썩 좋진 않은 것 같습니다. 여기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정해야할꺼는 해주면 좋은데 아니 거주지역 다시 공간 조절해주면되지 왜 없애는건데.. 다시 편집하게 되잖아… 짜증나게 하지말자 쫌..

Location: 무학아파트, 성산구, 창원시, 경상남도, 대한민국
Posted by Jeongwan Nam on 14 December 2015 in Korean (한국어).

여러분은 건물 편집을 어떻게 하는편인가요? 저의 경우에는 건물을 그린 다음 building=yes 와 주소를 적습니다. 그리고, 그 건물에 있는 poi를 하나씩 입력합니다. 이렇게 편집을 했을 경우, 여러 poi가 있는 건물은 지저분하게 지도에 표시됩니다. 좀 더 나은 편집 방법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