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ei924's Comments
Changeset | When | Comment |
---|---|---|
142757891 | almost 2 years ago | 안녕하세요, 특별시도가 아닌 도로를 2차 도로로 태그하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국에서의 도로 편집은 다음 기준을 따릅니다: osm.wiki/Ko:한국의_도로 |
142658589 | almost 2 years ago | 정정: ‘등급에 따른 도로 재분류’ 입니다. |
142361011 | almost 2 years ago | 제가 확인했을 적에는 국지도가 1차 도로였었는데, 그새 또 기준이 바뀌었나 보군요... 일전에 2차 도로로 편집했다가 1차 도로가 맞다고 다른 분의 지적을 받았었는데, 음.. 조금 혼란스럽네요.. |
141974509 | almost 2 years ago | 일반 차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부분은 별도의 도로로 편집되어서는 안 됩니다. 버스 전용 도로가 물리적으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일반 도로의 차로 하나가 버스 전용으로 지정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리적 분리가 일어나는 정류장 진입부만 별도의 도로로 매핑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참고 링크: osm.wiki/Key:lanes:psv |
141809782 | almost 2 years ago |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추가로 덧붙입니다. 위의 의견은 ‘오류 가능성’에 대한 부분만 주의깊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실내 지물’이 어딘가 있었던 것 같아서 좀 더 찾아본 결과 indoor 태그가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네요.. 뭔가 실내에 있는 지물로서 따로 구분이 필요해 보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건물로 보기에는 영 애매한 것을 분류하기에 상당히 적절한 태그라고 생각합니다. 계단이 따로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로의 일부이므로 적용하는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
141809782 | almost 2 years ago | 지나가다가 의견 남깁니다. 만약 저 계단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실내 지물 태그가 따로 존재한다면 그 태그를 적용하는 것이 옳겠습니다만, 그렇지 않다면 건물로 태깅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밀폐되지 않은 계단은 해당사항이 없더라도, 벽과 천장으로 밀폐된 계단에 대해서는 충분히 건물의 일부로 볼 수 있어 보입니다. 또한 현행 건축법상으로는 건축물에 붙어있는 부속 구조물도 건축물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계단으로 된 곳에 대해서는 building=yes를 적용하기 충분해 보입니다. 오류의 발생에 대해서는, 오류의 발생원인이 편집의 미숙이지 편집 기준으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면 레이어 태그를 잘 설정하는 방법으로 해결가능한 문제입니다. 4호선 상록수역처럼 건물 본체가 도로 위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흔하며, 이들 역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태그의 조절을 통해 해결함이 바람직합니다. 해당 태그에 대해서는 아래 항목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141501277 | almost 2 years ago | 안녕하세요, 특별시도를 3차 도로로 설정하고 계시는 듯한데, 특별시/광역시도는 2차 도로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
141569704 | almost 2 years ago | 오늘 텔레그램 커뮤니티에도 해당 바뀜집합 편집자분께서 의견을 올려 주셔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해당 의견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도로의 분류 방식에 대해서는 기존에 합의가 된 바가 있는 만큼 절차를 거쳐야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141569704 | almost 2 years ago | 구리시계~아천IC는 도로의 전체적인 모습, 역사적 관점에서 고속화도로가 적절해 보이고, 사회적으로도 비록 서울시 밖 구간이지만 대체로 아천IC까지를 고속화도로로 보는 것 같습니다. 원래 토평강변로 구간이던 아천IC 동쪽 구간과도 약간 구분되는 경향이 존재하고요..
GPS에 맞추어 어긋난 도로를 조정하다 살피지 못했던 부분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염두해 두겠습니다. |
140880631 | almost 2 years ago | 제가 쓴 혼용이라는 표현이 정확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자동차전용도로를 고속화도로로 지정하시면 안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화도로 중, 어느 한 쪽에만 해당하는 도로가 있을 수 있기에 자동차전용도로 여부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자동차전용도로 지정 여부에 연연하지 않고, 그 도로가 고속화도로로 보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별도의 판단에 따라 지정되어야 적절할 것 같습니다. 국도를 1차 도로로 태깅하시는 것에는 문제가 없으나, 자동차전용도로 여부에 의해서만 highway=trunk를 적용하시는 것 같아 이렇게 의견을 남깁니다. |
140880631 | almost 2 years ago | highway=trunk로 표시하는 기준이 자동차전용도로의 여부는 아닙니다. 자동차전용도로의 여부는 따로 motorroad=* 태그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osm.wiki/Key:motorroad 동부대로와 같이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지 않은 고속화도로도 있고, 양재대로와 같이 고속화도로로 보기 어려운 자동차전용도로도 있기 때문에, 고속화도로 태그가 자동차전용도로와 혼용되는 것은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
141207079 | almost 2 years ago | 이 상황에서 올림픽대로의 시종점이 어디인가는 쟁점에서 벗어나는 것 같습니다(그것이 어디인지에 대해 제가 의견을 제기한 적은 없습니다). 만약 법적 시점과 표지판 위치가 상이하다면 법적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도로 표지판이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제안해 주신 태깅 방법은 적절해 보입니다. |
141207079 | almost 2 years ago | 강일IC~미사교차로 구간은 미사대로와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중첩 구간입니다. 실제로 시종점 표지판은 저기에 있지만,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에 의하면 시점이 고덕동 9-6(강일IC)로 정해져 있습니다. OSM에서 한국은 도로의 법적 구분을 기준으로 분류하기로 합의되어 있는 만큼, 두 종류가 중첩되는 경우라면 상위의 항목에 맞추어 태그함이 적절해 보입니다. (첨부문서 참조)
|
140168381 | almost 2 years ago | Hello, in Korea, there's certain criteria for classifying roads. It should be according to legal level of roads, not personal thoughts. |
139811498 | almost 2 years ago | 다산지금로의 경우 가운사거리~(구)도농삼거리를 잇는 짧은 도로로서 광역주도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 개인적 생각입니다. 다만 강변북로의 경우 충분히 그렇게 볼 수 있으나, 국도/지방도/시도 등으로 지정된 바가 없어 정해진 기준에 맞추어 주거 도로로 표현하였습니다. 사실 어떤 도로가 ’광역주도로 역할을 하는가‘는 객관적으로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국 OSM 커뮤니티에서는 법적인 구속력도 있고, 비교적 명확하면서도 무엇보다도 OSM의 도로 분류 체계와도 비슷한 “도로법”에 따른 '관리주체별' 분류 방법을 사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바뀜집합 설명에 제시된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혹시 위 기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 공식 커뮤니티나 비공식 텔레그램에서 의견을 나눠주세요. 도로 분류와 관련된 내용을 다시 제대로 정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139704833 | almost 2 years ago | 국내의 도로는 osm.wiki/Ko:한국의_도로 를 기준으로 편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3차 도로 분류는 시/군/구도에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
139622607 | almost 2 years ago | 개인적으로는 국가지원지방도가 지방도의 한 종류인 점, 국토관리사무소가 아닌 도에서 관리하는 도로라는 점, 국도를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2차 도로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기는 합니다만.. 혹시 분류 기준에 대해 기존에 합의되어 있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 방법을 아시나요? |
139622607 | almost 2 years ago |
위 문서의 기준대로 편집중이었습니다. 원래 국가지원지방도도 2차 도로로 분류한다고 되어 있었는데, 오늘 내용이 수정되었네요... |
130055416 | about 2 years ago | Maybe from 38north |
131588690 | over 2 years ago | Oh... It maybe my mistake. Thanks for letting me know! |